본문 바로가기
직장인/기업분석

캐리소프트 재무제표 분석

by taNsaN' 2021. 5. 9.
반응형

출처: 캐리소프트 홈페이지(http://www.carriesoft.com/)

 

주주현황 (2020.12.31 기준)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종속기업의 현황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정보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020년 캐리소프트의 영업실적은 연결기준으로 매출 62억원, 영업이익 -24억원, 

당기순이익 -4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말 캐리소프트의 자산은 186억원으로 2019년 대비 12% 감소하였습니다.

이 중 유동자산은 75억원, 비유동자산은 111억원입니다.

부채는 2019년 대비 45% 증가하였으며, 유동부채는 36억원, 비유동부채는 13억원입니다.

자본총계는 2019년 대비 23% 감소한 136억원입니다.

 

차입금 현황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본금 변동사항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주요배당지표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미디어 콘텐츠 산업은 전통 미디어와 뉴 미디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국가와 국가의  경계가 무너지는 한편

콘텐츠와 커머스, 미디어와 ICT, 가상과 현실이 융합되면서 산업 질서가 새롭게 재편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특히 캐리소프트가 주력하는 키즈 분야는 낮아지는 출생률에도 불구하고 자녀에 대한 소비지출이 급성장하면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콘텐츠 산업은 정신적 재화의 소비라는 특성상 필수소비재 대비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부침 현상이 존재합니다.

또한, 문화 소비의 경우 수요자 기호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유행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속성이 떨어지는 바,

1인당 소득수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콘텐츠의 유통 경로와 상업화할 수 있는 아이템, 그리고 이에 대한 수요층이 한정적이었던 과거 대비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대상이 다양해졌다는 점은 이러한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키즈 산업은 뉴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캐릭터∙애니메이션 사업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면, 전통적 사업자들은 줄어드는 출생아 수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의 변화하는 놀이문화에 발맞춰 영상과 애니메이션의 비디오 콘텐트를 국내외 전방위로 배포하고,

키즈 콘텐츠 IP와 미디어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지속적인 사업모델을 창출하게 되면

경기변동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금융 캐리소프트 주가(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7530#)

 

본 포스팅은 주관이 개입되어 서술된 단순 참고용으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특정종목의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절대 아니라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y. taNsaN

반응형

'직장인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호에이엘 재무제표 분석  (0) 2021.05.11
동양에스텍 재무제표 분석  (0) 2021.05.10
성문전자 재무제표 분석  (0) 2021.05.06
한국선재 재무제표 분석  (0) 2021.05.04
인스코비 재무제표 분석  (0) 2021.05.03

댓글